2011년 4월 30일 토요일

우분투 mysql 언어셋 설정

DB에서 글자가 깨질 염려가 없도록 언어 인코딩을 확인해 본다. latin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.

/etc/mysql/my.cnf
 [mysqld]
#
# * Basic Settings
#

default-character-set=utf8
character-set-server = utf8
collation-server = utf8_general_ci

그리고 아파치의 설정도 확인 해본다.
/etc/apache2/conf.d/charset
AddDefaultCharset UTF-8

error.log 메시지

[error] [client 192.168.0.6] PHP Notice:  Undefined variable: page in /home/dotmon/www/sub/list.php on line 131
정의되지 않은 변수
[error] [client 192.168.0.6] PHP Notice:  Use of undefined constant regist_day - assumed 'regist_day' in /home/dotmon/www/sub/list.php on line 146
정의되지 않은 상수 regist_day 사용


[error] [client 192.168.0.6] PHP Warning:  Unknown: failed to open stream: Permission denied in Unknown on line 0, referer: http://192.168.0.48:8000/sub/list.php
권한오류

[error] [client 192.168.0.6] PHP Fatal error:  Unknown: Failed opening required '/home/dotmon/www/sub/view.php' (include_path='.:/usr/share/php:/usr/share/pear') in Unknown on line 0, referer: http://192.168.0.48:8000/sub/list.php
PHP는 치명적인 오류 : 알 수없는 : '필요한 열 수 없습니다

2011년 4월 29일 금요일

파이어폭스 nightly버전 사용하기

ppa저장소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 본다.
ppa:ubuntu-mozilla-daily/ppa

kate를 아크로에디터처럼 설정

kate를 처음 사용할 때, 설정에서 만져야 할게 많다.
설정 > kate설정 > '편집기 구성 요소' 메뉴로 간다.
세션 > 마지막으로 사용한 세션 불러오기
플러그인 > tab bar
글꼴과 색 > 글꼴 > 크기를 10.2
글꼴과 색 > 강조 텍스트 스타일 > php(html)에서 element의 bold해제
편집 > 들여쓰기 > 기본 들여쓰기 모드: 일반
편집 > 들여쓰기 > 들여쓰기 너비 > 3, 4글자
편집 > 들여쓰기 > 탭 간격 > 3, 4글자
편집 > 들여쓰기 > '항상 들여쓰기 단계 증가 시키기' 선택
모양 > 일반 > '탭 문자 강조하기' 해제
모양 > 경계선 > '접기 마커 보이기' 해제

2011년 4월 28일 목요일

kate에디터 터미널

터미널이 안보일 때 콘솔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
sudo apt-get install konsole
있다면 kate서 설정 > kate설정 > 플러그인 > '터미널 도구 보기' 체크할 것

2011년 4월 26일 화요일

우분투 File does not exist: /경로/favicon.ico

아파치에서 File does not exist: /home/dotmon/www/favicon.ico 에러가 난다.
다음 내용을 /etc/apache2/apache2.conf의 마지막에 추가한다. 그리고 아파치를 재시작 해볼 것.

# Don't bother looking for favicon.icoRedirect 404 /favicon.ico
Redirect 404 /favicon.ico

# Don't bother sending the custom error page for favicon.ico
<Location /favicon.ico>
    ErrorDocument 404 "No favicon"
</Location>

2011년 4월 25일 월요일

명상

스트레스를 외부를 통해 컨트롤하는 방법이 아닌, 내부적으로 컨트롤하는 방법이다.
핵심은 자신을 억압하지 않는데 있다. 편안하게 자신의 호흡을 느끼는게 답이다.
아직까지 효과는 잘 모르겠다. 다른 생각도 많이 들고, 자세도 불편하다고 느낀다.
자세란 것은 가부좌를 말하는데, 왼다리를 오른 다리위에 올려 책상다리를 하는 것이다.

목적은 스트레스를 덜 느끼는 것이다. 그러나 어디까지 스트레스가 감소했는지 잘 모른다. 얼마간 명상을 해야하는지 잘 모른다. 어느새 드러눕고 자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한다.

비우는게 핵심인 것 같지만, 등을 편안하게 기대고 숫자를 세어봐야 겠다.

2011년 4월 24일 일요일

php.ini 환경설정

게시판에서 변수가 잘 안 넘어가거나, 첨부파일 용량과 관련하여 php.ini를 살펴 보도록 하자.

찾아보니,
find / -name php.ini

/etc/php5/cli/php.ini
/etc/php5/apache2/php.ini

두군데서 나왔다. ( /etc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의 환경설정 파일이 있는 곳 )
첫번째는 쉘용, 두번째는 웹용이므로 /etc/php5/apache2/php.ini를 수정해 주도록 하자.

php란?

php는 웹프로그래밍 언어이다. 보편적으로 apache웹서버와 mysql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해서 사용하게 된다. php를 통해 게시판, 방명록, 갤러리, 쇼핑몰 등을 만들게 된다.

윈도우즈에서도 통용되기 때문에 이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.
데이터베이스는 mysql뿐만 아니라, Oracle, PostgreSQL, Sybase도 지원된다.

무엇보다 처음 접근하는 사람들이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.

리눅스 http오류 발생시

http오류 발생시 /var/log/apache2/error.log의 가장 끝 줄을 보도록 한다.

find / -name error.log 명령하면, /var/log/apache2/error.log 가 나온다.

/var에는 수시로 변경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. (variable이라는 의미, 시간이 지나면서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.)

/log는 변경 기록을 저장한다. (log는 일지, 기록이라는 의미가 있다.)



파일 내용을 비울 때는 경로로 이동하여
> ./error.log

(또는)

cat /dev/null > ./error.log

2011년 4월 22일 금요일

db 명령

접속
mysql> mysql -u계정 -p패스워드 db명

DB 만들기
mysql> create database DB명;
DB 삭제
mysql> drop database DB명;
DB 목록 보기
mysql> show databases;
테이블 목록 보기
mysql> show tables;
테이블 삭제
mysql> drop table 테이블명;
테이블 구조 보기
mysql> desc 테이블명;


레코드에 삽입된 특정 필드 보기
mysql> select 필드명1, 필드명2 from 테이블명;
레코드에 삽입된 필드 보기
mysql> select * from 테이블명;


레코드 개수 구하기
mysql> mysql_num_rows($result);
필드 개수 구하기
mysql> mysql_num_fields($result);

데이터 변경
mysql>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=$필드값 [where 조건식];
레코드 삭제
mysql> 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[where 조건식];

사용자 계정 삭제
mysql> delete from user where user = '계정';
db권한 삭제
mysql> delete from db where user = '계정';

2011년 4월 19일 화요일

dolphin, kate 원격접속

쿠분투의 dolphin과 kate에서 서버에 sftp 원격접속을 하고 있다. 장점은 로컬에서 원격 파일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.
dolphin에서 경로에 sftp://계정@아이피:22 입력하고, 위치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추가하면 된다.
kate에서는 '열기 > 경로입력'하고 위치항목에 추가하면 끝이다.

리눅스의 - 옵션

책을 보니
- : 사용자의 환경변수를 읽는다.
무심코 사용해 큰 생각 못했는데, 참 놀라운 부분이다.